조기 위암 및 위선종 환자에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시행한 근치적 부가적 위절제술의 임상, 병리학적 고찰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Additional Gastrectomy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or Adenoma
- Other Titles
-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Additional Gastrectomy afte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or Adenoma
- Authors
- 노혜진; 박종재; 윤재원; 권민정; 윤대웅; 장원진; 오하영; 주문경; 이범재; 김지훈; 연종은; 김재선; 변관수; 박영태
- Issue Date
- Apr-2012
- Publisher
- 대한소화기학회
- Keywords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Gastrectomy; Early gastric cancer; Gastric adenoma; 내시경점막하박리술; 위절제술; 조기 위암; 위선종
- Citatio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59, no.4, pp.289 - 295
- Indexed
- SCOPUS
KCI
- Journal Title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ume
- 59
- Number
- 4
- Start Page
- 289
- End Page
- 295
- URI
- https://scholarworks.korea.ac.kr/kumedicine/handle/2020.sw.kumedicine/12225
- DOI
- 10.4166/kjg.2012.59.4.289
- ISSN
- 1598-9992
- Abstract
- 목적: 조기 위암과 위선종의 치료로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재발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 부가적 위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술 후 부가적 위절제술의 빈도와 원인 그리고 원인에 따른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위암 및 위선종에 대해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시행받은 1,512명의 환자들 중 부가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32명(2.1%)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가적인 위절제술의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를 분석하였다. 부가적인 위절제술을 시행한 원인을 출혈이나 천공과 같은 합병증으로 시행한 경우와 재발의 위험성으로 시행한 경우, 즉 불완전 절제와 림프관 침윤의 경우로 분류하였다. 대상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원인에 따라서 내시경점막하 박리술 전후의 조직 병리 소견과 부가적 위절제술 후의 잔류암 유무와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조기 위암과 위선종으로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2.1%에서 부가적 위절제술이 필요하였다. 확대 적응증으로 시술을 하거나 2 cm를 초과하는 경우, 그리고 분할 절제를 한 경우에 부가적 위절제술 시행 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천공이나 출혈과 같은 합병증으로 수술한 경우 84.6%에서 잔류암이 있었고 23.1%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었다. 합병증은 대만 부위 병변일수록, 점막암보다 침윤 깊이가 깊은 경우일수록 빈번하였다. 불완전 절제의 경우 69.2%에서 잔류암이 있었으나 림프절 전이는 7.7%에서만 보였다. 림프관 침범의 경우 잔류암은 모두에서 보이지 않았으나 50%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었으며 침윤 깊이가 깊을수록 전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암이나 위선종 환자에 있어 내시경점막하박리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절제 변연 양성, 림프관 침윤으로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부가적 근치적 위절제술이 필요하다.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이 보다 완전하고 근치적인 시술이 되기 위해서는 부가적 위절제술의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시술자의 경험 축적으로 합병증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특히 침범 정도가 깊을수록 합병증과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높으므로 시술 전 침윤 깊이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2. Clinical Science >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