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 식도내압검사에서 발견되는 비효과적 식도운동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 Found in Routine Esophageal Manometry
- Other Titles
- 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 Found in Routine Esophageal Manometry
- Authors
- 김효정; 연종은; 박종재; 김재선; 변관수; 박영태; 이창홍
- Issue Date
- Apr-2003
- Publisher
- 대한소화기학회
- Keywords
- Esophageal manometry; 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 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Hypotonic contractions; Nontransmitted contractions; 비전달성 수축;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 비효과적 식도운동; 식도내압검사; 저압성 수축
- Citatio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41, no.4, pp.250 - 255
- Indexed
- SCOPUS
KCI
- Journal Title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ume
- 41
- Number
- 4
- Start Page
- 250
- End Page
- 255
- URI
- https://scholarworks.korea.ac.kr/kumedicine/handle/2020.sw.kumedicine/36847
- ISSN
- 1598-9992
- Abstract
- 목적: 삼키거나 역류된 내용물을 식도로부터 위장으로 운반하는 주된 기전은 식도의 연동이다. 그러나 저압성 수축 또는 비전달성 수축은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비효과적 식도운동(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IEM)임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또 식도내압검사 결과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NEMD)로 진단되는 예들의 대부분이 이 IEM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일상적 식도내압검사를 시행하는 예들에서 IEM의 발견 빈도를 알아보고, 또 IEM을 독립된 진단으로 구분하는 새로운 내압검사 진단기준에 따른 각 진단의 분포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처음으로 일상적 식도내압검사를 실시한 환자들 중 결체조직질환으로 진단된 예들을 제외한 연속적 1,940예의 내압검사 소견을 대상으로, Castell 등의 기준을
본 교실의 참고치로 수정한 기존 식도내압검사 진단기준으로 분석하고, 이를 다시 IEM을 따로 구분하는 Fouad 등의 기준을 수정한 새 진단기준으로 분석하여, 두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기존 NEMD 347예 중 331예(95.4%)는 IEM에, 11예(3.2%)는 정상에 속하였으며, 기존 기준에 의한 정상 1,345예 중 249예(18.5%)는 IEM에 속하였다.
결론: 기존에 NEMD로 진단되는 예들의 대부분은 IEM에 속하며, 정상으로 진단되는 예들 중 일부도 IEM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EM은 식도내압검사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운동장애이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2. Clinical Science >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