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간질환에서 혈중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2와 9)의 측정 의의Clinical Usefulness of Plasma Activities of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9) in Chronic Liver Disease
- Other Titles
- Clinical Usefulness of Plasma Activities of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9) in Chronic Liver Disease
- Authors
- 권오상; 임도윤; 권광안; 정문기; 박동균; 김선숙; 김연석; 권소영; 구양서; 김유경; 최덕주; 김주현; 황유진; 변관수; 이창홍
- Issue Date
- Sep-2003
- Publisher
-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 Keywords
- MMP-2; MMP-9; Liver cirrhosis; Hepatocellular carcinoma; Zymography; 간경변; 신생물/간/간세포암
- Cit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v.9, no.3, pp.222 - 230
- Indexed
- OTHER
- Journal Title
- The Korean Journal of Hepatology
- Volume
- 9
- Number
- 3
- Start Page
- 222
- End Page
- 230
- URI
- https://scholarworks.korea.ac.kr/kumedicine/handle/2020.sw.kumedicine/21096
- ISSN
- 1226-0479
- Abstract
- 목적: Gelatinase (MMP-2와 9)는 기저막의 주 구성요소인 type IV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로, MMP-2는 간경변과 MMP-9은 간세포암의 진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간질환과 MMP-2와 9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기능이 정상이고 간질환이 없는 건강 대조군 10예, 만성 간염 15예, 간경변 18예, 그리고 간세포암 25예를 대상으로 혈장을 채취하여 MMP-2와 9의 활성을 보기 위해 zymography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p=0.009)과 만성 간염군(p= 0.011)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p= 0.035), 만성 간염군과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간세포암이 없는 간경변군 15예와 간세포암을 동반한 간경변군 23예를 합친 총 간경변군 38예에서 MMP-2의 활성은 total bilirubin이 높을수록(r=0.323, p=0.048) 그리고 Child-Pugh 점수가 높을수록(r=0.414, p=0.012) 증가되어 있었다. 총 간경변군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은 알코올 성 간경변군에서 HBV에 의한 간경변군 보다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각각 p=0.009, p=0.002).
결론: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의 진단과 중증도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세포암에서의 유용성은 적으리라 생각되나 알코올성 간경변의 진단적 표지자로는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MMP-2와 MMP- 9의 활성은 간경변의 원인 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2. Clinical Science >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