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바이러스 Core 유전자의 변이가 급성 B형 간염의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HBV Core Gene Mutations on the Severity of Acute Viral Hepatitis
- Other Titles
- Effect of HBV Core Gene Mutations on the Severity of Acute Viral Hepatitis
- Authors
- 김연수; 김영석; 차상우; 문종호; 조영덕; 이문성; 변관수; 심찬섭; 서동진; 이창홍
- Issue Date
- Feb-2001
- Publisher
- 대한소화기학회
- Keywords
- Hepatitis B virus; Core mutation; Acute viral hepatitis B; Fulminant hepatitis; Severity of hepatitis; B형 간염 바이러스; 급성 B형 간염; 전격성 간염; core 변이; 간염의 중증도
- Citation
- 대한소화기학회지, v.37, no.2, pp.98 - 105
- Indexed
- KCI
OTHER
- Journal Title
- 대한소화기학회지
- Volume
- 37
- Number
- 2
- Start Page
- 98
- End Page
- 105
- URI
- https://scholarworks.korea.ac.kr/kumedicine/handle/2020.sw.kumedicine/22662
- ISSN
- 1598-9992
- Abstract
- 목적 : HBV core 유전자의 missense 변이는 전격성 간염에서 다발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간염 환자에서 core 유전자의 변이 빈도를 확인하
고 변이의 존재 여부에 따라 간염의 중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급성 간염에서 나타나는 변이 부위를 이미 보고된 바 있는 만성 간질환에서의 변이 부
위와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자연 회복된 비전격성 급성 B형 간염 환자 23예와 전격성 간염 2예에서 혈청 DNA를 추출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후 직접 염기서열분석법으로 HBV core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 비전격성 간염 환자에서 core 유전자의 missense 변이는 23예 중 7예(30%)에서 나타났으며 환자 1인당 missense 변이가 일어난 codon 수는 평균 0.57 ± 0.9개였다. Missense 변이형이 검출되었던 7예 중 6예는 codon 97의 isoleucine이 leucine으로, 그리고 codon 130의 proline이 threonine으로 치환된 변이로 이미 보고된 바 있는 만성 간질환에서 변이가 흔하였던 codon의 변이와 동일하였다. 혈청 ALT치와 총 빌리루빈치는 각각 19 12±80 1/ 1140±52 1 IU/L (p<0.05), 11.6±5.8/9.0±4.5 mg/dL (missense 변이형이 검출된 군/검출되지 않았던 군)으로 변이형이 검출된 군에서 간염이 심한 경향이었다. 전격성 간염은 2예 모두에서 A 1896 변이형이 존재하였고 core에는 각각 4개, 6개의 missense 변이가 확인되었다.
결론 : 비전격성 간염에서는 core 유전자 변이가 드물지 않았으나 변이의 정도는 심하지 않았다. 전격성 간염에서는 HBV core 유전자에 missense 변이가 다발적으로 존재
하며 비전격성 간염 환자에서도 변이형이 검출되는 환자에서 간염이 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급성 B형 간염에서 변이가 흔한 부위는 만성 B형 간질환 환자에서 발견되는 부
위와 동일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Go to Link
- Appears in
Collections - 2. Clinical Science > Department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