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주상골 잠김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주상골 골절 불유합의 치료Treatment of Unstable Scaphoid Nonunion Using a Volar Locking Plate

Other Titles
Treatment of Unstable Scaphoid Nonunion Using a Volar Locking Plate
Authors
권영우박지헌최인철남재준박종웅
Issue Date
2019
Publisher
대한수부외과학회
Keywords
Scaphoid; Nonunion; Wedge bone graft; Locking plate; 주상골; 불유합; 쐐기형 이식골; 잠김금속판
Citation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v.24, no.4, pp 311 - 320
Pages
10
Indexed
KCI
Journal Title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Volume
24
Number
4
Start Page
311
End Page
320
URI
https://scholarworks.korea.ac.kr/kumedicine/handle/2020.sw.kumedicine/2612
DOI
10.12790/ahm.2019.24.4.311
ISSN
2586-3290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불안정성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를 위하여 쐐기형 장골이식과 주상골 잠김금속판 고정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했다.방법: 총 17명(남자 16명, 여자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평균나이는 30.4세였다. 수상 후부터 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44.8개월이었다. 총 17예의 환자 모두 전방 쐐기형 장골이식과 주상골 잠김금속판 고정을 시행했다. 주상골 불유합의 위치는 waist에서 발생한 경우가 12예, 근위부에서 발생한 경우가 5예였으며,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10.2개월이었다. 골유합은 수술 후 단순방사선촬영과 computed tomography 단면을 통하여 확인했으며 최종 추시 시 완관절 운동범위, 주상-월상골각과 요-월상골각, 주상골의 높이-길이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했다.결과: 최종 추시상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유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7.9주(범위, 6-12주)가 소요되었다. 주상-월상골각과 요골-월상각은 정상범위 내로 유의한 회복을 보였다. 수술 후 완관절 운동범위는 127.9° (59.1° 굴곡, 68.9° 신전)로 수술 전 보다 34%, 건측의 82.9%까지 회복되었다. 회외전과 회내전은 정상이었으며 추시 기간 내 내고정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결론: 불안정성 주상골 불유합에서 전방 쐐기형 장골이식과 주상골 잠김금속판의 사용은 우수한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금속판 고정 후 조기에 골유합을 얻고 석고 고정 없이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2. Clinical Science >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ong Woong photo

Park, Jong Woong
Anam Hospita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Anam Hospital)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